2024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APT의 하락세가 멈췄다, 다시 상승세를 타려고 하는 전조를 보이고 있다 등등 다양한 부동산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있어서 확인을 하시려고 많이들 찾아보시는데, 확실한 APT실거래가에 대해서 조회하는 방법, 그리고 호가와의 차이, 공개시스템등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부동산 부동산은 토지나 건물처럼 움직일수 없는 옮길수 없는 재산을 가리키는 말.
대한민국에서 부동산은 기회로 여겨지며, 지금까지 절대 불패신화를 이루고 있는 이 시대의 최고의 투자 상품입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주식을 하신적이 있다면, '호가' 라는 단어는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호가란 단순하게 매도자와 매수자가 제시하는 가격입니다.
이렇게 주식시장에서 매수자와 매도자가 가격을 정해놓은 상태바를 호가창이라고 부릅니다. 마찬가지로 아파트거래에서도 매도자 매수자가 부동산중개사를 통하여 부동산 가격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실거래가가 아닌 단순한 호가에 불과하며 실제로 얼마에 거래가 됐느냐는 따로 확인 하셔야됩니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아파트 실거래가란 부동산 거래에서 실제로 계약된 금액. 부동산 세금계산의 중요한 기준 취득세, 양도소득세를 결정할때 사용하는 기준, 실거래가 신고는 06년부터 의무적용, 거래 체결 30일이내에 거래 당사자나 부동산 중개인이 실거래 신고해야합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외에도 또다른 좋은 정보들이 많이 있습니다. 부동산을 바라보는 관점에 지역개발 또는 공공기관/ 상권/ 교통/ 교육/ 외부자본유입 등이 존재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부동산을 검색하기에도 편하게 되있습니다. 예를들어 해당지역의 교육권을 알고 싶은경우 학군정보를 검색할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지역별 특목고, 자사고 진학현황을 검색한 결과값입니다.